근로자햇살론 대상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(2023년 기준)

오늘은 근로자햇살론 대상, 한도, 금리, 신청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소득이 적거나, 신용점수가 낮은 직장인들은 시중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데요.
이런 분들을 위해서 서민금융위원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는 대출상품을 만들었습니다.
근로자햇살론을 이용하시면 최대 2,000만원까지, 최고 11.5% 이하의 이자율로, 최장 5년까지 빌려 쓸 수 있습니다.
자세한 사항은 아래내용 확인 부탁드립니다.

근로자햇살론
근로자햇살론

1. 근로자햇살론이란?

근로자햇살론은 제도권금융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·저신용 근로자에 대한 보증부대출을 통해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고, 금리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임

2. 근로자햇살론 대출자격

– 저소득자 : 연소득 3,500만원 이하
– 저신용자 : 개인신용평점이 하위 100분의 20*에 해당하면서 연소득 4,500만원 이하

3. 근로자햇살론 대출한도

– 최대 2,000만원(2022.2.25~2023.12.31일 한시적 증액)
* 대출가능금액은 위 한도 내에서 개인별 신용도 등에 따라 상이함

4. 근로자햇살론 보증료와 금리

– 보증료 : 보증금액(대출금의 90%)의 연2.0%
* 예를 들어, 1,000만원을 빌렸다면 이 돈의 90%인 900만원의 2% 457,000원을 내야함
* 사회적배려대상(1.0% 인하), 소득 연 3,500만원이하 저소득 청년(0.5%인하), 금융교육 이수자(0.1% 인하) 보증료 절감 가능
– 대출금리 : 매월 금융감독원에서 통보하는 상한금리 내에서 금융회사가 자율 결정하나 11.5% 이하 결정하도록 함

5. 근로자햇살론 상환기간 및 방법

– 상환기간 : 3년 또는 5년 중 선택
– 거치기간 : 1년(이자만 납부하는 기간)
– 상환방법 : 원금균등분할상환 방식
– 신청방법 : 협약은행 창구 또는 App을 통한 신청
* BNK경남은행, 광주은행, KB국민은행, IBK기업은행, NH농협은행, DGB대구은행, BNK부산은행, SH수협은행, 우리은행, 전북은행, 제주은행, 하나은행, 신한은행
– 대출문의 : BNK경남(1600-8585), 광주(1600-4000), KB국민(1588-9999), IBK기업(1588-2588), NH농협(1661-3000), DGB대구(1566-5050), BNK부산(1588-6200), SH수협(1588-1515), 우리(1588-5000), 전북(1588-4477), 제주(1588-0079), 하나(1588-1111), 신한(1577-8000)
– 보증문의 : 1397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
햇살론 홈페이지 바로가기 클릭



Leave a Comment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